pgh_rep_9111_01

The Page of Exhibition 전시작 지상공개 / 사진예술, 1991년 11월

사진은 발명된 이래로 사실의 기록이라는 인간들이 부과한 오랜 멍에에 짓눌려 있었다. 우리가 흔히 보는 가족들의 기념사진에서부터 박물관 속의 고상한 예술사진에 이르기까지 모든 사진은 기록의 굴레에서 정당성과 존재가치를 부여 받았다. 그러나 현대에 이르러서 정보전달과 묘사의 기능이란 차원에서 사진의 역할은 다른 새로운 매체들로 대체되었다. 이러한 사실은 폭넓은 변화의 과정을 통해 사진이 자유롭게 사용되기 시작했다는 것을 의미한다. 사진의 본래 기능들이 발휘되기 시작했고 창조적인 예술가들은 사진매체를 자아의 표현수단으로 이용하기 시작했다.
‘사진이 실물과 같다’는 신화(Myth)는 롤랑바르트 같은 이론가들과 요제프 보이스 등의 예술사진가들에 의해 이미 폭로되었다. 대신에 사진은 한 사진가 또는 개인이 사물을 바라보는 한 방식(A Way of Seeing)이고 사물에 대한 감정을 드러낼 수 있는 가장 이상적인 수단이라는 인식이 확산되어 갔다. 이러한 사진의 원초적 기능은 주변에 둘러싸인 사물의 연속성을 일정한 프레임 (정사각형 또는 직사각형)을 통해 단절시키는 과정에서 발휘된다는 인식도 당연한 것으로 여겨지게 되었다.
박건희의 사진은 연속선상의 사진들에 자신의 감정을 부여하는 과정으로 볼 수 있다. 너무도 평범하고 일상적일 수 있는 사물들이 그의 사진 프레임 속에 들어~가면서 새로운 주변과의 긴장관계를 형성하고 의미를 갖게 된다. 사물은 항상 인간과는 관계없이 그 자체로 초연하게 존재한다. 하지만 그 사물은 인간에 의해 사용되고 해석되었을 때 의미를 갖기 시작한다. 어찌보면 모든 사물들은 궁극적으로 변화될 운명을 타고 태어났을 것이다. 돌은 그 자체로 존
재해 왔지만 때로는 도끼로 때로는 반도체로 이용되어 전혀 다른 맥락으로 들어간다.

박건희의 사진은 연속선상의 사진들에 자신의 감정을 부여하는 과정으로 볼 수 있다. 너무도 평범하고 일상적일 수 있는 사물들이 그의 사진 프레임 속에 들어-가면서 새로운 주변과의 긴장관계를 형성하고 의미를 갖게 된다.

사진이 사물을 변화시키지는 못한다. 단순한 빛의 작용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사진에 찍혔을 때 사진가의 태도와 감정에 따라 전혀 다른 관계 속으로 미끄러져 들어가고 새로운 의미를 생산한다. 그것이 한 사물에 좀더 특별한 감정을 갖는 사진가에 의한 것이라면 더욱 그렇다. 사진에서 소재의 문제가 특별히 중요하지 않고 다만 사진가의 시각이 더욱 중요시되는 이유는 바로 여기에 있다. 박건희의 사진이 증명하는 바와 같이 전혀 다른 소재들이 우리에게 동일한 느낌으로 다가오는 현상은 그래서 가능할 수 있다.
다른 제목들이 붙여진 박건희의 모든 사진은 그의 자화상이다. 그것은 그가 사물의 존재에 끌려 다닌 것이 아니라 모든 사물을 자신의 감정 속에서 용해시켰기 때문이다. 타인들이 흔히 지나쳐버리는 평범함이 그에게는 특별한 것으로 보였다. 박건희의 사물에 대한 태도와 감정이 다르기 때문이다. 따라서 여기에 있는 사진들은 사물을 보고 세상을 생각하며 해석하는 또 하나의 방법이다.
이러한 사진이 곧 인간의 확장이라고 말했던 것이 마샬 맥루한이었던가.

글. 박주석



[목록으로]